![]() |
||
서울남산국악당은 오는 8월 16일 공동 기획으로 연희단팔산대 ‘축제의 땅’을 선보인다. ‘축제의 땅’은 일본 나고야를 중심으로 전통문화를 전승해 온 재일동포 ‘나고야 놀이판(이하 놀이판)’과 그들을 가르친 한국의 명인들이 함께해 광복 80주년과 ‘놀이판’ 창립 4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이다.
2025년은 놀이판이 창립 4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놀이판은 매해 5월 한국 전통예술의 명인을 초청해 워크숍을 통해 전통예술을 연마했다. 온종일 춤과 연주를 하는 이 합숙 워크숍은 곧바로 축제의 장이 됐고, 해마다 9월에 열리는 나고야 이마이케마츠리(今池祭り)의 메인 공연단체가 됐다. 놀이판의 40년, 어린아이는 장구치고 춤추는 부모 주변에서 놀다 배웠고, 또 그 아이들이 부모가 돼 자신의 아이들에게 대를 물리고 있다. 예술을 위한 연습이 아니라 삶을 위한 연습이 계속돼 온 것이다. 이들이 장구소리의 동심원에 빠져들어 춤추는 축제, 그 어울림이 더한 울림이 되기를 바라며 인연이 빚은 잔치, ‘축제의 땅’을 준비한다.
이번 공연에는 30년 동안 교류한 한국의 명인들이 함께 출연한다. 1995년 첫 워크숍의 물꼬를 튼 김운태의 채상소고춤, 그 뒤를 이어 20년간 지도하며 놀이판 워크숍을 이끌어 온 김주홍의 비나리, 놀이판 농악의 새 바람을 일으킨 조성돈의 고깔소고춤, 이나가키 마사토의 콘서트를 열어주고 지금껏 친구이자 멘토가 돼준 장사익의 소리판이다. 그리고 놀이판을 춤으로 물들인 박경랑의 교방소반춤, 춤추는 농사꾼 이윤석의 덧배기춤, 장인숙·김혜윤의 교방굿거리춤, 김연정의 태평춤, 해원의 살풀이춤을 추는 고연세·박영수, 마루야마 진혼제를 주관한 정영만의 구음이 함께한다. 또한 2024년 타계한 놀이판의 후원자이자 한국가요사의 저자 박찬호를 기리는 가요연구가 장유정, 이준희의 이야기가 어우러질 예정이다.
공연을 기획·연출하는 진옥섭은 “의미의 진지함을 넘어 전통예술의 눈대목이 등장하는 기갈을 달랠 판”이라고 공연을 장담한다.
서울남산국악당 공동기획 ‘축제의 땅’은 8월 16일 15시, 19시에 진행된다. 공연 티켓은 전석 5만원이며, 예매 및 자세한 내용 확인은 서울남산·돈화문국악당 누리집(www.sgtt.kr)과 인터파크를 통해 가능하다. 회차별 잔여 티켓이 있는 경우 공연 당일 현장 매표 후 관람할 수 있다. 기타 문의사항은 서울남산·돈화문국악당으로 연락하면 된다.
강남신문 kangnamnews@hanmail.net